금융 노트
💰 2025년 연봉 실수령액 총정리|연봉별 세금 공제표 & 4대보험 요율까지
2.14
2025. 4. 16. 14:43
반응형

“연봉 3,000이면 실제로 얼마 받죠?”
“건강보험, 국민연금 떼면 도대체 뭐가 남는 거예요?”
📌 연봉을 제시받았을 때
실제로 내 통장에 찍히는 금액(=실수령액)은
굉장히 다르게 느껴지죠.
그래서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연봉별 실수령액과
4대보험 공제액을
한눈에 보기 좋게 정리해드릴게요.
✅ 2025년 4대보험 요율 (근로자 부담 기준)
항목 | 공제율 (2025년) | 계산 기준 |
국민연금 | 4.5% | 기준소득월액 |
건강보험 | 3.545% | 기준소득월액 |
장기요양보험 | 건강보험료의 12.81% | 건강보험료에 포함 |
고용보험 | 0.9% | 월급 기준 |
총 공제율 | 약 9.09% 내외 |
※ 소득세 및 주민세는 연봉에 따라 다르므로 별도 반영
💸 연봉별 실수령액표 (2025년 기준 / 일반 사무직, 1인가구)
연봉 | 세전 월급 예상 | 실수령액 예상 |
24,000,000 (연 2,400만 원) | 약 2,000,000원 | 약 1,820,000원 |
30,000,000 (연 3,000만 원) | 약 2,500,000원 | 약 2,260,000원 |
36,000,000 (연 3,600만 원) | 약 3,000,000원 | 약 2,680,000원 |
42,000,000 (연 4,200만 원) | 약 3,500,000원 | 약 3,070,000원 |
48,000,000 (연 4,800만 원) | 약 4,000,000원 | 약 3,460,000원 |
60,000,000 (연 6,000만 원) | 약 5,000,000원 | 약 4,230,000원 |
72,000,000 (연 7,200만 원) | 약 6,000,000원 | 약 5,010,000원 |
📌 공제액은 4대보험 + 소득세 + 주민세 포함 평균값 기준
📌 부양가족 수, 비과세수당, 지역/직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
💡 실무 꿀팁
- 4대보험 가입자 기준이며, 프리랜서는 3.3% 공제 방식이 따로 있음
- 월급 실수령액 계산기 활용 시, 근로자 공제 항목 꼼꼼히 체크할 것
- 부양가족이 1명 이상일 경우 세액공제 대상이므로 실수령액 증가
- 연봉협상 시에는 세전 금액보다 실수령액 기준으로 확인하는 게 중요
🧚 정보요정의 한마디
연봉이 높아 보여도
실수령액은 예상보다 작을 수 있어요.
그래서 더 중요한 건
“한 달에 내가 실제로 얼마를 쓰고, 얼마를 모을 수 있는가”
💡 숫자의 흐름을 먼저 이해하는 게 진짜 재테크의 시작이에요!
반응형